1. 용량
(1) 블로워의 용량 표기 방법 m3/min (또는 m3/Hr)이며, CMM (또는 CMH)으로도 표기를 한다.
CMM은 Cubic Meter per Minute 의 약자이며, CMH는 Cubic Meter per Hour 의 약자이며,
단위 시간당 (1분 혹은 1시간)에 처리되는 유량을 말한다.
용량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Q를 사용하며, 이는 Quantity 의 약자이다.
※ CMM (Cubic Meter per Minute)과 CFM (Cubic Feet per Minute)의 단위 변환
① CFM -> CMM 으로 변환
CFM × (0.3048^3 = 0.0283) - CMM
20,000 CFM × 0.0283 = 565 CMM
② CMM -> CFM 으로 변환
CMM × (1 ÷ 0.3048^3 = 35.3) = CFM
565 CMM × 35.3 = 20,000 CFM
(2) 루베와 헤베
일반적으로 블로워의 용량의 표기는 위와 같이 표기를 하지만, 부르는 말은 [루베]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루베는 m3 을 뜻하는 일본어로 입방미 (立方米)로 표기되며, 입방을 뜻하는
[리쯔보우]와 입미를 뜻하는 [루우베이]를 한국식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정확히 얘기를 하면 일본어가 아니고 일본식 한국어인 셈이다.
[헤베]는 m2 를 뜻한다. 이 또한 평방미 (平方米)의 일본어 발음인 [헤이베이]를 부르는 것이다.
(3) 용량의 조건에 따른 분류
- S m3/min : Standard 조건일 때의 용량 (또는 풍량 : S m3/min or S CMM)
- N m3/min : Normal 조건일 때의 용량 (또는 풍량 : N m3/min or N CMM)
- A m3/min : Actual 조건일 때의 용량 (또는 풍량 : A m3/min or A CMM)
2. 압력
(1) 정압 (STATIC PRESSURE, Ps)
정압 Ps 는 기체의 흐름에 평행인 물체에 표면에 기체가 수직으로 미는 압력이고,
그 표면의 수직 Hole 을 통해 측정한다.
PS = (Pt2 - Pt1) - Pd2 = Ps2 - Ps1 - Pd1
※ 사용 단위 : mmAq, mmH2O, mmWG, mmHg (=13.595 mmAq),
Pa (=0.102 mmAq), bar (=10197 mmAq), Kg/m2
※ mmAq 의 Aq는 액체를 뜻하는 영어의 Aqua의 약자이다. 그러므로 mmH2O와 같은 의미이다.
Aqua는 미국식을 빌리면 용액을 뜻하고, Water는 마시는 물 개념으로 구분되어 있는 듯하여
나라별로 다소 차이가 있음.
(2) 동압 (DYNAMIC, VELOCITY PRESSURE, PV)
동압 PV 는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환산한 값입니다.
송풍기 동압은 50 mmAq(약 30 m/s) 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기 전압과 정압은 흡입구와 토출구의 면적이 같으면, 그 동압도 거의 똑같이 상쇄된다.
다만, 압력비가 1.03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동압차를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 V = 통과속도 (m/sec)
(3) 전압 (TOTAL PRESSURE, Pt)
전압은 정압과 동압의 합.
PT = PS + P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