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 비동기 모터 구조 (3 Phase Asynchronous Motor)
- 전동기/전동기
- · 2017. 2. 9.
[질문]어셈블리를 한 후 압축파일을 만드려고 하면 위와같은 오류가 발생되는데 해결방법이 뭘까요.? [답변]위의 DLL 문제는 윈도우7 이상에서 보안 업데이트중 KB3072630 설치 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일단 아래와 같이 조치를 취해보세요.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cd C:\Program Files\Common Files\SolidWorks Shared 3. C:\Program Files\Common Files\SolidWorks Shared 폴더에서 sldshellutilsu.dll 확인 4. regsvr32 sldshellutils10u.dll 입력 5. 해당 dll 등록 위 조치 방법 후 오류가 동일하게 발생하면 아래 작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제어판] > [프로그..
판금이나 제관 작업 시 전개도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첨부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엑셀 파일이고 각 형상별로 요구되는 치수만 기입하면 바로 계산됩니다.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메카피아 카페
1. BRUSHLESS MOTOR 브러시리스 모터 (Brushless Motor)는 DC 모터에서 브러시와 정류자(Commutator)를 없애고 전자적인 정류 기구를 설치한 모터이다. 따라서 기계적인 노이즈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노이즈도 발생되지 않는다. 브러시리스 모터의 장점은 원리적으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기타 초저속 또는 초고속, 다극(자석의 수가 많다.) 긴 수명의 모터가 간단히 만들어지는 점도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조는 중심에 회전하는 마그넷이 있고 그 둘레에 구동 코일이 설치되어있다. 브러시리스 모터의 작동원리는 DC 모터와 같이 플레밍의 왼손 법칙이며 코일 또는 영구자석의 어느 쪽이 회전해도 그 작동 원리는 같다. 단, 브러시리스 모터에는 정류자가 없기..
[질문]안녕하세요 기계설계산업기사 실기 준비중인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실기중 비고란에 중량 기입하는게 있는데 3d형상을 그리고 재질 선택하고 물성치에 나오는 질량 값을 그대로 기입하면 되나요? 아니면 거기서 따로 비중을 곱해줘야 하나요 ?만약 비중을 곱해줘야한다면 비중 7.85일경우 질량x7.85=답 을 비고란에 적어야 하나요ㅠ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질량=부피x밀도비중=재료의밀도/물의밀도 (고체/액체, 기체시 같은온도 대기) 밀도와 비중은 혼동하기 쉽지만 다릅니다. 즉 부피에 밀도를 곱해주시면됩니다.솔리드웍스 이용시, 재질데이터를 넣으면 자동으로 부피에 맞춘 질량을 계산해줍니다.재질데이터를 넣지 않아도, 아래 사진처럼 따라하시면 직접 수치를 넣을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인 (http:/..
솔리드웍스 (Solidworks) 창 개요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솔리드웍스의 각각의 창의 명칭을 알고 학습한다. 학습 순서1. 커맨드매니저 (CommandManager) - 사용자가 액세스하려는 도구 모음을 기반으로 하여 동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작업 상황별 도구모음 입니다.2. 피처매너저 (FeatureManager) 디자인 트리- 파트, 어셈블리 또는 도면의 전체적인 개요를 볼 수 있으며, 모델이나 어셈블리의 구조를 쉽게 보고 도면의 여러 시트와 뷰를 편리하게 확인 가능하게 해줍니다.3. 상태표시줄- 창 하단에 있는 상태 표지줄에 작업 중인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4. 참조좌표계- 모델링 할 때 참조하는 메인 좌표계 입니다..
[질문]어셈블리 시 뷰설정에 원근을 제외한 엠비언트/그림자가 안보이는데 왜 그런가요? [답변]대형 어셈블리 모드가 전환되어서 그런것 같습니다.부품이 많으면 원할하게 돌리기 위해서 자동으로 대형 어셈블리 모드로 전환되는데부품들이 대체로 표현 정밀도가 떨어지게 됩니다.대형 어셈블리 모드를 끄면 해결 되실겁니다.만약 대형어셈블리 모드로 전환이 안되게 하고 싶다면 옵션 -> 어셈블리에서 대형 어셈블리 체크를해제하면 됩니다. 다만 해제 할경우 컴퓨터 사양에 따라 버벅임이 생길수 있습니다. 출처 - 솔리드웍스 한국 공식 유저그룹 카페 (http://cafe.naver.com/playsw)
키보드의 화살표로 모델 회전 시 회전각도 제어하기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기본적으로 모델링을 회전 할 때 마우스 가운데 휠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회전 방향으로 마우스를 움직여도 회전이 되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키보드의 상, 하, 좌, 우 화살표로 15도씩 모델을 회전 시킬수 있다. 이번에 학습할 내용은 키보드의 회전 각도를 제어 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습 순서1. 메인 메뉴에서 도구->옵션을 클릭합니다.2. 그럼 시스템 옵션 창이 뜨는데 '뷰' 항목을 클릭하고 '뷰 회전' 에 화살표 키 입력 각도를 수정하면 키보드의 상, 하, 좌, 우의 화살표를 누를때마다 모델이 회전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이번 학습은 예시 파일..
완성된 모델링 뷰 방향 바꾸는 법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완성된 모델링의 뷰방향을 바꾸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습 순서1. 아래 그림과 같이 완성된 모델링의 뷰 방향을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2. 일단 정면도로 바꾸고 싶은 모델링의 면을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한 후 '면에 수직으로 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선택한 면이 정면이 되게 뷰 이동이 됩니다.3. 이때 스페이스 바 (Space bar)를 누르면 방향 창이 팝업으로 뜹니다. 방향 창에 보면 3번째에 '표준도 업데이트' 를 클릭해줍니다.4. 방향 창에서 '표준도 업데이트' 를 클릭했다면 바로 아래의 정면도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뷰의 변경 여부 메세지 창이 하나 뜨는..
오른쪽 마우스 제스처를 이용한 명령선택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자주 사용하는 명령은 아이콘을 사용하지 않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의 제스처를 사용하여 쉽게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오른쪽 마우스 제스처를 이용한 명령 선택 학습을 배워보자. 학습 순서1. 스케치를 하기 위해서 '정면도'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스케치'를 클릭합니다.2. 스케치가 활성화 되었으면 메인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꾹 누른다음 아주 살짝 마우스를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등으로 움직여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제스처가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스케치 작업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선, 원, 사각형, 치수 아이콘이 나타나며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쪽으로 ..
스케치 평면 바꾸기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맨 처음 모델링을 할 때 스케치 평면을 잘못 지정하여 모델링 하였을 때 스케치 평면을 바꿀 수 있다. 정면도에서 그린 스케치를 우측면도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순서1. 아래 그림의 모델링은 스케치 평면이 정면도에서 스케치하여 돌출 시킨 모델입니다.2. 스케치 평면을 바꾸기 위해 피처 매니저(왼쪽 창)에서 보스-돌출1에 ▶를 클릭하면 아래 나오는 스케치에서 마우스 오른클릭을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팝업아이콘 메뉴가 나오는데 두번째 '스케치 평면 편집'을 선택합니다.3. 선택한 스케치의 스케치 평면 (정면도)가 스케치 평면/면에 나타납니다.4. 스케치 평면 창 바로 오른쪽에 '스..
곡면에 문자 생성하기솔리드웍스 버전 - SolidWorks Professional 2017 SP 1.0 학습 내용 - 스케치의 도구 중 '문자'를 이용하여 돔과 같은 구체의 곡면에 문자가 곡면의 곡률을 따라 양각으로 튀어나온 문자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1. 곡면에는 문자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문자를 쓸 기준면을 선택한 후 '스케치'를 클릭합니다. (예시는 평면도 선택)2. 문자를 쓸 경우 기준선이 있어야 그 선 위에 문자가 써지므로 문자를 안내할 원을 스케치하고 '보조선'을 클릭하여 실선에서 '보조선'으로 선의 유형을 변경합니다. 3. 다음은 스케치 도구에서 '문자'를 클릭하고 곡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곡선은 2번에서 만들었던 보조선 원을 선택하고 택스트 항목에는 문자를 입력하고 그 아래 글..
[질문]스케치를 하기 위하여 새문서를 열고 기준면을 선택하면 아래 그림처럼 원점 중앙으로 기준면이 형성되지 않습니다.이건 어떻게 지정을 하여야 원점 중앙으로 설정되는지 알려주세요. [답변]솔리드웍스의 파트 템플릿이 꼬인듯 합니다.꼬인 원인은 전 버전의 템플릿과 현 버전의 템플릿이 겹치거나 오류가 나는 경우 그럴수 있습니다.일단 해결방법은 두가지 입니다.첫번째는 솔리드웍스의 모든 옵션을 초기화 하는 방법입니다.두번째는 다른 컴퓨터의 템플릿 파일을 복사해와서 옮기고 실행하는 방법입니다.참고하실 점은 버전이 다른 템플릿은 사용하실수 없으며, 하위버전 템플릿은 상위버전에서는 사용이 가능합니다.제 블로그에 2014~2016 버전의 템플릿이 있으니 다운로드 받으셔서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http://iori826...
1. Service Factor 1.0과 1.15의 차이점1) Coil Size 및 절연등급등은 모두 동일하나, S.F=1.15의 경우는 Motor Frame Size 만 1단계 크게 설계하여 Cooling 효과 증대로 15% 까지의 비연속적인 과부하에 대해서 모터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작된 것을 의미한다. 2) S.F : 1.15 로 설계된 모터의 경우 15% 과부하 운전 시 모터 사양의 Temperature Rise 보다 Temperature Rise + Max. 10℃ 이하로 상승되도록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예) 모터 절연등급 : F종 (105℃), Temperature Rise : B종 (80℃) - 115% 부하 시 : Temperature Rise + 10℃ = 90℃까지 상승할 수 ..
(1) 모터(Motor)의 온도상승과 절연 모터(Motor)에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됩니다. 이것은 코일 (Coil)이나 도체의 저항에 의해 모터(Motor)의 통전부에 발생되는 동손, 자력선이 지나갈 때의 철심재료의 저항, 철심을 자화시키기 위하여 철손부에 발생하는 철손에 의한 전기적 손실입니다.마찰손이라고 하는 축수, 공기 등 마찰에 의한 기계적 손실로 인하여 발열이 됩니다.모터(Motor)에 발생된 열의 일부는 모터(Motor)내에 축적되고, 그 밖에는 복사, 대류, 전도 등에 의해서 외부로 발산됩니다.모터(Motor)가 운전 중에는 모터(Motor) 내부에서 발생된 열 손실과 밖으로 방산되는 열과의 차를 온도상승이라고 합니다.모터(Motor)의 운전 온도상승이 되어 열이 발생되면 온도가 가장 높..